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332)
monaural(모노럴) 일반적으로 모노라고 한다. 전기음향 전송계인 마이크, 앰프, 스피커가 한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을 한쪽 귀로 청취하는 시스템이다.
diffraction effect(회절효과) 전파나 음파등이 장애물의 배후로 감돌아가는 현상(회절)으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 일반적으로 파장이 길수록 회절 효과는 크다
Critical distance(임계거리) 직접음과 잔향음의 레벨이 같아지는 거리
비주기적 파형을 가진 잡음 소리의 파형이 주기적으로 반복되지 않고, 그 변화가 불규칙한 소리를 비주기적 파형을 가진 잡음(noise)이라 한다.
주기적 파형을 가진 복합음 복합음의 파형은 순음의 파형보다 복잡하지만, 주기적으로 파형이 반복되는 소리이다. 예를 들어 음성 및 악기의 소리 등은 주기적 파형을 가진 복합음이다
단음(single tone) 하나의 기본음과 그 정수배의 배음으로 구성된 음이며, 음악 음은 대부분 단음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피아노의 하나의 건반 음이나 사람의 목소리는 단음이다.
역자승법칙(inverse square law) * 자유음장(free field)이란 장애물이나 음의 반사가 없는 음장을 말한다. 자유음장에서 점음원에 의해 만들어지는 음압레벨은 그 거리가 2배가 되면 6dB씩 감쇠되며 이것을 역자승법칙이라 한다. (음원으로부터 거리가 2배씩 멀어지면 음압레벨이 6dB씩 감쇠된다) 같은 점음원을 중심으로 하는 2배의 거리에서는 구의 표면적은 반경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표면적은 4배가 된다. 따라서 구를 통과하는 단위 면적당의 음향 출력은 1/4이되고, 음압은 4:1의 출력비에 해당하는 6dB(=10log1/4)저하된다. level attenuation=10log(d1/d0)6^2=20log(d1/d0) d0 : 기준거리 d1 : 음압레벨 측정지점에서의 거리 거리가 2배가 되면 음압레벨은 6dB(=20log2)낮아지고, ..
정재파(Standing wave) 같은 주파수의 같은 종류의 진행파의 상호 간섭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적으로 어떤 고정된 분포를 갖는 주기적인 파이다. 이와 같은 파는 공간적으로 마디, 또는 부분 마디 및 배가 존재하는 특징이 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