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333) 썸네일형 리스트형 %Alcons : articulation loss of consonants(자음 명료도 손실) Peutz는 잔향 시간, 잡음, 1~2kHz의 주파수 대역 내의 직접음 대 간접음 비를 고려한 음성의 명료도 결정인자로서 자음 명료도 손실을 제안하였고, 그 후 Klein은 Peutz의 이론을 보정하여 음원의 Q를 포함한 식을 제안하였다. (%) 여기에서 D는 음원과 청취자와의 거리, T는 잔향시간, Q는 음원의 지향 계수, a는 청취자에 의한 보정항이며 0~12%이다. AI,Articulation Index(명료도 지수) 전화의 명료도를 추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통화계의 주파수 특성과 통화계에 혼입되는 잡음의 스펙트럼 및 레벨로부터 ‘명료도 지수’를 구한다. Air Monitor(에어 모니터) 확성, 무선 방송 등에서 실제로 공중에 방사되고 있는 신호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 홀 등에 있어서는 실내 음을 객석에 취부된 마이크에 의해 방송에 있어서는 방송 전파를 수신기에 의해 받아서 감시한다. 프로그램의 진행 상태를 주지할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전기적으로 직결된 라인 모니터와 구별된다. Air check(에어 체크) 방송을 수신하여 청감에 의해 음질 등을 체크하는 것. 보통, 방송을 체크하기 위한 녹음도 포함한다. Air Borne Sound(공기 전반음) 진동 근원으로부터 진동의 에너지의 일부가 공기중으로 소리가 되어 방사되고, 그것이 공기를 전달 매체로하여 수음점에 도달했을 때, 그 소리를 공기 전반음이라 한다. Acoustic area effect, Edge effect(면적효과) 잔향실 법 흡음률을 측정할 경우, 시료 면적이 작아질수록 측정 갓이 크게 되는 성향이 있다. 이것을 면적 효과라고 한다. 이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흡음재에 대해 음파의 회절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며, 시료의 크기가 음 파장보다 작아지면 이러한 효과가 생기고, 흡음률이 큰 재료일수록 이 현상은 심해진다. Acoustic absorption(흡음) 물체가 소리를 흡수하는 일. 어떤 재료에 입사한 소리의 에너지는 그 일부가 표면에서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하며, 나머지는 재료 내에 흡수된다. 재료 내부의 소리 흡수는 다공성(多孔性) 재료인 경우에는 그 내부에서의 마찰이나 점성저항(粘性抵抗) 또는 소섬유(小纖維)의 진동, 얇은 판이나 천인 경우에는 막진동(膜振動), 입구가 좁은 항아리와 같은 경우에는 공명(共鳴)에 의하여 소리가 에너지를 상실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재료의 한쪽에 소리를 투사(投射)하고 그 쪽에서만 관찰하면 반사되어 오지 않는 소리는 재료에 흡수된 것과 투과한 것인데, 겉보기에는 그 재료에 흡수된 것으로 보이므로 이것을 흡음이라 하고, 입사한 소리의 에너지에 대하여 반사되지 않은 소리의 에너지 비율을 흡음률(吸音率)이라 한다. 흡음률은 소리.. Absorption ratio(흡음률) 재료의 표면에 Ii 의 소리가 입사되었을 때, 반사되는 소리를 Ir이라 하면, 다음식으로 주어지는α 를 그 재료의 흡음률 (sound absorption coefficient)이라고 말한다. α = 1- It / Ii . 이흡음률 α는, 재료의 성질 외에 재료의 배후 조건, 입사음의 주파수, 입사각에 관계한다. 따라서 흡음률에는 이것들의 조건이 명기되지 않아서는 안 된다. 재료면에 수직으로 소리가 입사되었을 때의 흡음률을 수직 입사흡음률(normal incident absorption coefficient) αO , 재료면의 법선과 θ 의 각도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소리에 대한 흡음률을 경사입사흡음률 (oblique incident absorption coefficient) αθ 라고 말한다. 또 재료면.. 이전 1 ··· 391 392 393 394 395 396 397 ··· 4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