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333) 썸네일형 리스트형 Dynamic Range(다이나믹 레인지) 어떤 프로그램의 가장 큰 레벨과 가장 낮은 레벨과의 차이를 말하며, 음향 시스템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시스템의 피크 출력과 전기 잡음(Noise Floor)과의 차로 나타낸다. 소리사랑 (2005-01-15 12:24:00) ⓧ 가장 큰 소리와 가장 작은 소리의 격차를 다이나믹 레인지라고 말한다. 하지만 우리의 환경과 주변의 잡음 때문에 우리는 정확하게 가장 작은 소리가 어느 정도라고 저의할 수 없기 때문에 보통 다이나믹 레인지를 말할 때에는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소리의 격차를 단순하게 다이나믹 레인지라고 말하기도 한다. Dynamic Range = 최대레벨(Peak Level) - 기본잡음(혹은 전기잡음 Noise Floor) Dubbing(더빙) 녹음된 2개 이상의 신호를 다시 조합하는 녹음 작업. DSP 아날로그 회로처럼 Effector의 개별 처리가 필요 없고, 레벨 제어에서 Delay까지 모든 프로세서를 하나의 칩으로 처리. Digital 시호 처리 방식으로 잡음을 제거할 수도 있고, Reverb나 Delay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신호 변화가 없다. 앞으로는 DSP가 Effector의 흐름을 리드해 나갈 것이다. Doppler effect(도플러효과) 음원과 관측자가 동시에 움직이고 있거나 한편이 움직이고 있을 때, 양자 간의 거리가 변화하여 음원의 진동수가 바뀌어 관측되는 현상으로, 구급차의 사이렌 소리나 기차가 철길을 통과할 때 울리는 기적소리는 음원이 근접할 때는 높게 들리고, 멀어짐에 따라 낮게 들린다. 이처럼 음원이 관측점을 또는 관측점이 음원으로부터 빨리 이동할 때, 기준점에서 음의 주파수가 변화되어 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영화 등에서 이러한 도플러 효과를 적절하게 구사함으로써 사실성과 오락성을 크게 부각시키기도 한다. 소리사랑 (2006-07-28 14:44:27)ⓧ음원이나 관측자가 움직일 때, 관측자에게 들리는 소리의 주파수가 정지한 경우와 다르게 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도플러 효과는 다음의 네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1. 정지한 .. Dividing network(디바이딩 네트워크-분할망) 앰프의 출력 신호를 2개 이상의 주파수 대로 분할하고, 각각의 전용 스피커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 분할 회로. 멀티웨이 스피커 시스템이나 복합 스피커에 이용된다. Distributed Loudspeaker System(분산 스피커 시스템) 객석의 위 및 옆에 스피커를 분산하여 배치하는 방식. 천정이 낮고 넓은 실내 등에 사용되며, 균일한 음압 레벨이 얻어지지만 방향감이 나쁘다. 시간 지연 장치에 의하여 방향감은 개선시킬 수 있지만 에코가 생길 수 있다. Distortion(왜곡) 회로나 전송 장치상에서 음성신호가 원하지 않은 파형상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 오디오에서 전기적 왜곡의 종류는 clipping distortion, harmonic distortion 과 intermodulation distortion이 있다. Direct Sound(직접음) 음원의 내용과 방향성의 정보를 가지며, 즉, 직접음은 음의 명료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전 1 ··· 383 384 385 386 387 388 389 ··· 4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