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333)
RTA (실시간 분석기, Real Time Analysis) 실시간 주파수 분석이다. Linear, Weighting으로 1/1, 1/3 Oct. 응답을 측정한다.
RT : reverberation time(잔향시간) 실내 음향 특성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물리량이다. 실내 음장에서는 음원이 정지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반사음의 울림이 남는다. 잔향 시간은 음원이 정지한 후 정지 상태의 음 에너지가 1/100만(60dB) 떨어지는 시간을 의미하지만, 대개 감쇄 곡선이 60dB까지 떨어지지 않으므로 –5dB~-30dB까지 30dB 감쇠한 시간을 2배 하여 잔향 시간을 구한다.
Root Mean Square Value, Effective Value(실효값) 변화하고 있는 량에 대해서, 그 순간값의 제곱의 평균치의 평방근. 주기를 가지는 량의 경우에는 평균은 그 일주기에 대해서 취한다.
RR(Room Response-레스폰스) 공간적 인상을 나타내는 목적으로, Jordan에 의해 제안된 음향 지표의 하나이다. 0~80ms까지의 전체 에너지에 대한 확산감을 주는 25~80ms의 옆방향 에너지와 80~160ms의 잔향 에너지 비를 표현한다.
Room Constant(실정수) 실 같은 반사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실정수R 은, R = αS/(1-α), 실내의 흡음에 관한 특성을 나타내는 양이다. 여기에서 α는 실의 평균의 흡음률, S는 실 총표면적(㎡ )이다. 이것을 이용하면, 실내에서 1회 이상 반사한 소리전체 (확산음)의 평균의 소리의 에너지 밀도ω av rev, J/ m3는, 음원의 출력PW 와의 관계가 된다. 여기에, c 는 소리의 속도이다.
Roll-off(롤 오프) 어느 주파수대역에서 최상과 최하위의 주파수에서 생기는 감쇠현상.
정격 입·출력 레벨 믹서에서 채널 페이더와 마스터 페이더를 -6dB로 설정한 후, 입력에 600Ω 부하의 1kHz 신호원을 입력시켰을 때 출력 레벨이 +4dBm이 될 때의 입력 레벨을 정격 입력 레벨이라고 하고, 이때 나타나는 출력 레벨을 정격 출력 레벨이라고 한다,
정격입력 오랜 시간 동안 입력을 가해도 신호가 변하지 않는 입력 값.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