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332) 썸네일형 리스트형 Solid Borne Sound(고체 전반음) 건물의 마루에 설비된 기계의 진동이 마루에 전해지고, 그 진동이 물건의 구조 체내를 전반하고, 수음자 근처의 벽등을 진동시켜 공기를 통해 소리가 방사될 대, 이것을 고체 전반음이라 한다. S/N Ratio(신호대 잡음 비- Signal to Noise Ratio) 기기의 출력 단자에서의 정격 출력 레벨과 잔류 잡음 레벨의 비를 dB로 나타낸 것 수신기·증폭기를 비롯하여 일반 전송계에서 취급하는 신호와 잡음의 에너지비. 신호의 품위 레벨의 척도로 하고 있다. SN비라고 약칭할 때가 많다. 신호는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대개 잡음과 섞여 있다. 그 비율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SN비가 쓰인다. 신호전력을 S, 잡음전력을 N이라 할 때 10 log10(S/N)으로 나타낸다. 단위는 데시벨(dB)이다. 이론적으로는 수신기나 증폭기의 잡음지수와 들어오는 신호의 크기만으로 일률적으로 정해지며, 개선의 여지는 적다. 그러나 FM(주파수변조)이나 PM(위상 변조) 방식인 경우는 도래신호의 크기가 어느 일정한도 이상이면 복조신호(復調信號)의 S/N비는 입력의 S/N비 보다 개선될 수.. SI ratio, Signal to Interference ratio(신호대 방해 신호의 레벨차) 수신 상태의 양부(良不)는 SI 比로 표시된다 Signal(신호) 물리적 시스템에서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information)를 옳기는 파형을 신호(signal)라 한다. (예: 음향, 음성, 지진파 등) Sensitiviry(감도) 스피커에 1W의 신호를 주었을 때 1m의 거리에서 검출되는 스피커의 재생 응답 마이크로폰, 수화기 등의 전기 음향 변환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데 쓰이는 출력량의 입력량에 대한 비로 정의되는 값.·입력량의 종류(수치를 문제로 할 때는 종류 및 단위 또는 입력량의 기준값)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는 전압 감도, 비감도(比感度), 가용 전력 응답 등으로 성능을 나타내는데, 보통 출·입력량의 비를 상용 대수로 표시한 값에 20배한 것을 데시벨(dB)로 표시하여 감도 레벨이라고도 한다. Sampling period(샘플링 주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를 샘플링 할 때의 그 시간 간격. Sampling frequency(샘플링 주파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를 샘플링 할 때의 단위 시간당 샘플 수. Sampling period의 역수 RTA (실시간 분석기, Real Time Analysis) 실시간 주파수 분석이다. Linear, Weighting으로 1/1, 1/3 Oct. 응답을 측정한다. 이전 1 ··· 367 368 369 370 371 372 373 ··· 4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