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332) 썸네일형 리스트형 Intelligibility(요해도) 의미 있는 단어나 문장을 단위로 구성한 시험 음성을 듣고 정확하게 들은 것을 백분율 한 것. 단어를 단위로 한 경우의 요해도를 단어 요해도, 문장을 단위로 한 경우의 요해도를 문장 요해도라고 한다. 요해도 값은 시험 음성의 구성법에 의해 다르므로, 이용한 리스트를 명기할 필요가 있다. 요해도 시험은 명료도보다 실제의 통화에 가까운 측정이지만, 리스트 구성 등 장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현재는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이용되고 있지 않다. Integrated amplifier(인테그레이티드 앰프) pre amp + power amp Impulse response(임펄스 응답) 시각 t=0에 대해서 단위 임펄스를 입력했을 때의 시스템의 시간 응답. Impulse function, Dirac data function(임펄스 함수) t=0인 점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는 그 진폭이 "0"이고 t=0에서만 무한대(∞) 크기를 갖는 펄스로서 면적은 "1"을 갖는다. Impulse, Impulsive sound(임펄스, 충격성 음) 연속 출력(continuous output power)은 앰프 성능의 규격으로서 정해진 왜율 이내에서 앰프가 파손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출력을 말하며, 정격 출력 또는 실효 출력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측정 신호의 주파수는 1kHz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만, 가청 주파수 대역 20~20,000Hz로 표시된 경우도 있으며, 이 방법이 전자에 비하여 현실적인 방법이다. 최대 출력(music power)은 연속 출력에 대해서 정해진 것이므로 왜율은 연속 출력과 같다. 드럼이나 팀파니와 같은 충격성의 음(Impulsive sound)은 그렇게 큰 소리로 느껴지지 않아도 순간적인 전기 출력은 아주 크다. 이러한 순간 최대음에 대해 추종할 수 있는 출력을 최대 출력이라고 하며,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 Impedance matching(임피던스 매칭) 입력 임피던스와 출력 임피던스를 같은 값으로 연결하는 것.전력 손실을 가장 적게 전송할 수 있다. Impedance(임피던스) 복소impedance라고도 말한다. 선형계의 정현적인 여진 (입력) 이라고 응답 (출력) 과의 비. 여진, 응답과 함께 복소량으로서 나타낸 복소수비이다. 일반적으로 impedance Z를 Z= R+jX 와 나타냈을 때, 실수부R 를 저항, 허수부X 를 리액턴스라고 말한다. ILD, Interaural Level Difference(두 귀간의 레벨 차) 두 귀 사이에 전달되는 신호의 진폭차 또는 레벨차 이전 1 ··· 377 378 379 380 381 382 383 ··· 417 다음